본문 바로가기

이상한 한자 이야기

어리석어 보이지만 꾸준함이 결과를 맺는다 - 우공이산(愚公移山) 이야기

반응형

옛날 옛적에 북산의 험준한 풍경속에 자리잡은 우공(愚公)이라는 늙고 어리석은 남자가 살았습니다.

그의 초라한 거처는 태항산과 완곡산으로 알려진 두 개의 거대한 산에 가로막혀

그를 포함한 마을 사람들이 경계를 넘어 다른 마을로 이동하기에 큰 불편함으로 여겨졌습니다.

90세에 가까운 우공은 힘들게 우회할 필요가 없도록 이 산을 옮기려는 대담한 열망을 품었습니다.

흔들리지 않는 결의로 우공은 그의 대담한 계획을 그의 자녀와 손자 손녀들과 공유했고

기쁘게도 그들은 그의 야망을 전심으로 지원했습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걱정이 많았던 그의 아내는 발굴된 돌과 흙의 처리에 대해 걱정을 표명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공의 단호한 생각은 옹고했고,

그의 가족은 잔해를 발해 지역에 버릴 수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결국 그의 아내도 그의 집념에 굴복하며 묵인했습니다.

우공이 그의 헌신적인 친족과 함께 힘들게 일하면서 돌을 부수고

산에서 흙을 파는 동안 며칠이 몇 주가 되었습니다.

한 바구니 한 바구니 무거운 짐을 발해의 은토라는 먼 곳으로 옮겼습니다.

사랑스러운 동지애의 표시로 경성이라는 과부와 그녀의 어린 아들도 우공의 노력에 손을 내밀었습니다.

하지만 은토와의 거리가 멀다 보니 흙을 새로운 안식처로 되돌리기까지 꼬박 1년이 걸렸습니다.

 이 어마어마한 노력을 지켜보던 지혜로운 장로이자 우공의 절친한 친구인 지수(智叟)는 진심으로 염려하며 그에게 말했습니다.

 "우공이여, 제발 이 고된 일을 그만두게. 자네는 이미 90세에 이르렀고
저 높은 산은 아무리 흙과 바위를 퍼나른들 변화가 있겠는가?"

 그러나 지수의 충고에 아랑곳하지 않고 우공은 웃으며 대답했습니다.

 

 "내가 숨을 다하거든 내 아들이, 내 아들이 이 업을 끝내 못마치거든 내 손자가 할 것이네.
이 업은 저 유한한 산과 달리 무한정 계속될 것이네. 반드시 이 업을 마칠 날이 올 것이라네."

 

 이 확고한 말을 들은 지수는 더 이상 반박할 수 없는 자신을 깨닫고

우공의 결심의 깊이를 곰곰이 생각하며 물러났습니다.

 우공의 이야기는 태항산과 완곡산의 산신들과 발해의 해신들에게까지 이르렀습니다.

땅을 바꾸고 바다를 메우려려는 인간의 끝없는 노력이 두려워 그들은 회의를 소집하고

옥황상제에게 인도와 해결을 간청했습니다.

우공의 흔들리지 않는 성실함에 깊은 감명을 받은 옥황상제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그는 거인족 과아신의 큰 아들들을 불러 두 산을 들어 올려

하나는 삭동에, 다른 하나는 옥남에 남기도록 시켰습니다.

두 산은 순식간에 이동되었고 마을 사람들은 보다 쉽게 마을 간을 이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위 이야기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의 고사입니다.

어리석을 우, 노인/사람 공, 옮길 이, 뫼 산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직관적인 뜻이죠.

고사를 종합해보면 사실 우공은 산을 옮기지 않습니다.

그의 성실함에 감복한 하늘이 대신 옮겨주죠.

하지만 성실함이 지속되면 산을 옮길 수 있을 만큼 큰 힘을 발휘한다

가르침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사람의 인생을 좌우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저는 아래 마가렛대처의 명언을 무척 좋아합니다.

 

생각을 조심해라 말이 된다.
말을 조심해라 행동이 된다.
행동을 조심해라 습관이 된다.
습관을 조심해라 성격이 된다.
성격을 조심해라 운명이 된다.
우리는 생각하는대로 된다.
 - 마가렛 대처 -

 

결국 우리를 완성하는 건 매일매일의 꾸준함입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운동을 하면 건강해집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책을 읽으면 현명하고 지혜로워 집니다.

매일 열심히 했던 그 어떤 것이 당장, 한달, 심지어 1년까지도 빛을 발하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언젠가 바보처럼 꾸준히 해왔던 것은 결과로 나타날 것이고 결국 우리가 됩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죠.

매일매일 게임만을 한다던가, 술을 마신다던가,

관계에 게을리하고 공부를 하지 않으면 그 결과 또한 그것이 그 사람이 됩니다. 

 

여러분은 어떤 사람이 되길 원하시나요?

지금 어떤 삶을 살고 계신가요?

반응형